go 2

Golang 입문기 - 문법 2

서두 저번 게시글에서는 주로 문자열 관련된 Golang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상수, 변수, 타입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알아볼 계획이다. 상수 (Constants) Golang에서 사용하는 상수에는 Boolean (진리값), Rune(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식별하는 정수 값), Integer (정수), Floating-point (부동소수점), Imaginary (허수), String (문자열) 상수가 있다. 룬, 정수, 부동 소수점 및 허수 상수를 집합적으로 숫자 상수라고 한다. 상수 값은 룬, 정수, 부동 소수점, 허수 또는 문자열 리터럴, 상수를 나타내는 식별자, 상수 표현식, 상수인 결과로의 변환 또는 일부 내장된 결과값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수 인수에 적용되는 min 또는 max, ..

Golang 2023.10.27

Golang 입문기 - 문법 1

서두 이전 게시글에서, Golang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의의, 생겨난 목적 등등을 확인해보았다. 이번 게시글부터는 Golang에서 사용하는 문법과 다양한 언어적 특징을 알아보겠다. 해당 게시글은 https://go.dev/ref/spec 해당 페이지를 참조해서 진행하였다. 소개 해당 버전은 pre-Go1.18 이후의 버전으로 genric이 추가된 버전을 타케팅한다. Golang은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범용 언어이다. 이는 강력한 타입형 언어이고, GC를 지원하며 동시 프로그래밍을 명시적으로 지원한다. Golang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들은 종속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패키지들로 구성된다. Golang의 문법적 구문은 간결하고 구문 분석이 간단하므로 통합 개발 환경과..

Golang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