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2

Golang 입문기 - 0

계기 한참 회사에서 풀스택 잡부로 일하면서 다양한 프레임워크,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할 기회가 있었다 (Java, Javascript, Typescript, Dart, Python, Kotlin 등등). 그 정도에 차이가 있을 뿐이지 전부 정적 타입 검사를 지원하는 아~주 고급 언어들이다. 이러한 언어들로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다보니 문득, 이렇게 고급스럽게 만들어진 언어들에만 익숙해져 있어서 프로그래밍 언어 그 자체의 최적화라던가, 가비지 컬렉션, 박싱/언박싱 등등 프로그래밍 언어의 내면에 대해서 얕은 지식만 가지고 있는 채로 지나가고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매번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면서 프로젝트의 아키텍처, 개발론 (TDD, DDD, BDD 등등)과 같은 이론적이고 설계적인 부분에 대해..

Golang 2023.10.20

MLOps 기본 개념

개요 MLOps를 구현할 기회가 생겨서 알아보던 중에 기본적인 개념 정도는 정리를 하고 들어가야 할 것 같아서 찾아보던 중에, GCP에서 제공하는 좋은 문서가 있어서 이를 공부하면서 정리해보는 느낌으로 게시글을 작성하려 합니다. 아예 AI 쪽으로는 문외한이라 가장 기본적인 부분부터 작성될 예정이니, 이 글을 보실 분들도 참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한 문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cloud.google.com/architecture/mlops-continuous-delivery-and-automation-pipelines-in-machine-learning?hl=ko MLOps: 머신러닝의 지속적 배포 및 자동화 파이프라인 | 클라우드 아키텍처 센터 | Google Cloud 의견 보내..

MLOps 2023.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