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

[Database] PostgreSQL - 권한, 스키마, 상속, 파티셔닝

개요이전 게시글에서는 PostgreSQL 테이블의 기본 사항, 제약 조건을 통한 데이터 무결성 보장 방법, 기존 테이블 구조 수정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설계를 더욱 향상시키는 PostgreSQL의 고급 데이터 정의 기능을 더 깊이 탐구합니다. 여기에는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권한, 세분화된 접근 제어를 위한 행 수준 보안 정책, 데이터베이스 객체 구성을 위한 스키마, 코드 재사용을 위한 테이블 상속, 대규모 테이블 관리를 위한 파티셔닝, 외부 데이터 소스 접근, 그리고 객체 간의 종속성 추적 등이 포함됩니다. 섹션 1: 권한을 통한 접근 관리데이터베이스 보안의 핵심은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PostgreSQL은 강력한 권한 시스템을 통..

Database 2025.04.23

[Database] PostgreSQL - Table Management (DDL)

개요이번 게시글에서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내에서의 테이블 정의, 제약 조건 및 수정에 대한 포괄적인 기술적 검토를 제공합니다. 테이블의 기본 구조, 기본값 및 생성된 값과 같은 특수 열 속성, 데이터 무결성 유지에 있어 제약 조건의 중요한 역할(표준 및 PostgreSQL 특정 유형 포함), 시스템 열의 특성, 그리고 ALTER TABLE 명령을 사용하여 기존 테이블 구조를 변경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해 다룹니다. 섹션 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기본 사항모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핵심에는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하는 기본 구조인 테이블이 있습니다. 고급 기능을 살펴보기 전에 테이블의 기본 구성과 목적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1.1 테이블 구조: 행과 열PostgreSQL과 같은 관..

Database 2025.04.21

[Database] PostgreSQL - SQL Query

소개PostgreSQL에서 SQL 쿼리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SQL 구문의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SQL 구문은 데이터베이스와 소통하는 언어의 문법과 같아서, 이를 정확히 알아야 원하는 데이터를 올바르게 조회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PostgreSQL 17.4 공식 문서를 기준으로 SQL 구문의 세 가지 핵심 구성 요소인 어휘 구조(Lexical Structure), 값 표현식(Value Expressions), 그리고 함수 호출(Calling Function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어휘 구조 (Lexical Structure): SQL 구문의 기본 단위개요모든 SQL 명령은 토큰(Token) 이라고 불리는 기본적인 구성 요..

Database 2025.04.18

[Spring] Spring Data - MongoDB

개요Spring 프레임워크 생태계에서 MongoDB와 같은 NoSQ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Java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단순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Spring Data MongoDB는 MongoDB 문서 스타일 데이터 저장소를 사용하는 솔루션 개발에 핵심 Spring 개념을 적용하여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문서를 저장하고 쿼리하기 위한 높은 수준의 추상화인 "템플릿"을 제공하며, 이는 Spring 프레임워크의 JDBC 지원과 유사점을 가집니다.이 게시글에서는 Spring Data MongoDB 버전 4.4.4에 초점을 맞춰, 개발자가 이 강력한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다룹니다. 프로젝트 설정부터 시작하여 핵심 개념, 문서 매핑, 기본적인 CRUD 작업, 다양한 쿼리..

Spring 2025.04.18

[Spring] Spring Data - JPA

Spring Framework 생태계에서 데이터 접근 계층을 개발하는 것은 종종 반복적이고 상용구 코드가 많이 필요한 작업이었습니다. 하지만 Spring Data JPA는 이러한 과정을 혁신적으로 단순화하여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Data JPA 3.4.4 버전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설정부터 엔티티 및 관계 매핑, CRUD 작업, 다양한 쿼리 방법, 그리고 페이징, 프로젝션, 감사, 트랜잭션 관리와 같은 고급 기능까지 포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Spring Data JPA 소개: 목표와 핵심 개념Spring Data JPA는 Jakarta Persistence API (JPA) 사양 기반의 리포지토리를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Spring ..

Spring 2025.04.18

[Spring] Spring Data - JDBC

개요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은 많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 요소입니다. Spring 프레임워크 생태계 내에서 개발자들은 주로 Spring Data JPA를 사용하여 객체-관계 매핑(ORM)의 편리함을 누려왔습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 완전한 ORM 프레임워크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더 단순하고, 예측 가능하며, SQL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제공하는 솔루션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Spring Data JDBC가 등장합니다. Spring Data JDBC는 Spring Data 프로젝트의 일부로,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ign, DDD) 원칙에 맞춰 JDBC 기반 데이터 접근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완전한 ORM 기능(캐싱, 지..

Spring 2025.04.17

[Spring] Annotation 기반 Bean 생명주기

서론: Spring 의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 (DI)Spring 프레임워크의 핵심 가치는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IoC) 컨테이너와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 메커니즘에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최신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과 높은 테스트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핵심 개념제어의 역전 (IoC):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에서는 객체가 자신이 사용할 다른 객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찾는 반면, IoC에서는 객체 생성, 생명주기 관리, 의존성 연결 등의 제어권이 개발자의 코드에서 외부 컨테이너(Spring IoC 컨테이너)로 이전됩니다. 이는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코드의 유연..

Spring 2025.04.17

[CS] UUID v4 vs v7

개요보편적으로 고유한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s, UUIDs)는 컴퓨터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필수적인 128비트 숫자입니다. 분산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대 컴퓨팅 환경에서 그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UUID 버전 중에서 버전 4는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시간 기반 정렬 기능을 갖춘 버전 7이 등장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적절한 UUID 버전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버전의 특징과 장단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https://www.cockroachlabs.com/blog/what..

CS 2025.04.17

[CS] 동시성과 병렬성의 개념

이 글에서는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동시성(Concurrency) 과 병렬성(Parallelism) 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Java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이를 어떻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예제 코드와 함께 살펴본다.📌 1. 동시성(Concurrency)이란?동시성은 여러 작업이 논리적으로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도록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동시성의 핵심 개념단일 CPU에서도 구현 가능여러 작업을 번갈아 실행하면서, 사용자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고 느낀다.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을 활용하여 작업 간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동시성 예시웹서버가 여러 클라이언트 요청을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Java에서 여러 스레드(Thread)를 만들..

CS 2025.04.15

[CS] Thread의 Race Condition 해결

다음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공유 변수 접근 시 발생할 수 있는 경쟁 상태(Race Condition)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Java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이 글에서는 공유 변수의 단순 할당과 증감(++) 연산의 차이를 설명하고, 예제 코드를 통해 각 변수 유형 및 동기화 방식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였다.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공유 변수 접근과 Race Condition 분석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하나의 변수를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주로 경쟁 상태(Race Condition) 때문이다. 특히 공유 변수에 단순 값 할당과 증감 연산(++)은 결과에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1. 경쟁 상태(Rac..

CS 2025.04.15